[AWS] 서브도메인 구축/운영하기
서론 :
웹 개발시 개발/검증/배포 서버를 따로 두어야 된다는 말을 들어보았을 것이다.
혹시 있을 수 있는 에러를 정규 배포 전 개발/검증 간 파악하고 수정하기 위해서이다.
AWS S3를 이용한정적 웹페이지 배포시에도 스토리지와 도메인을 다르게 두어 배포 서버를 다르게 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.
예를들면 아래와 같이 말이다.
- 메인도메인 : https://abc.com
- 사용자도메인 : https://www.abc.com
- 개발도메인 : https://dev.abc.com
기술 스택 :
- React
- AWS S3
- AWS Route53
- AWS Cloudfront
- AWS Certificate Manager
방법 :
1. S3 버킷을 생성한다.
- 버킷이름은 서브도메인 이름이여야 된다. (www.abc.com)
2. Route53 으로 접근한다.
3. Route53 해당 도메인에 접근해서 레코드 생성을 클릭해준다.
4. 해당 도메인명으로 레코드를 생성해준다.
- 엔드포인트는 1번에서 생성한 S3로 잡아준다.
5.AWS Certificate Manager 로 접근한다.
- 리전은 버지니아 북부 로 설정해준다.
6. 서브도메인 명을 적어준다.
7. Route53 에서 레코드를 생성해준다.
8. Cloudfront 로 접근해준다.
- 현재 abc.com 도메인만 존재하는것을 알 수 있고 www.abc.com을 을 만들어줘야한다.
9. Cloudfront 배포 생성에서 해당 도메인을 선택해준다.
- 5번에서 만든 SSL 을 선택해준다.
10. Cloudfront 배포 생성 완료
11. 다시 Route53으로 접근한다.
12. Cloudfront를 엔드포인트로 하는 레코드를 아래와 같이 정의해준다.
테스트 :
abc.com 으로 포스팅했지만 실제로 만든 도메인은 아래와 같다.
DATA101 - 노코드 데이터 분석
www.data101.io
다음 포스팅으로 이어집니다.
[AWS] Lambda@Edge 이용한 리디렉션
본 포스팅은 아래 포스팅에서 이어집니다. [AWS] 서브도메인 구축/운영하기서론 : 웹 개발시 개발/검증/배포 서버를 따로 두어야 된다는 말을 들어보았을 것이다.혹시 있을 수 있는 에러를 정
dbstndi6316.tistory.com
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