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초소형머신러닝
- 영상처리
- dfs문제
- sort
- 포스코 AI교육
- 삼성코테
- 다이나믹프로그래밍
- tflite
- 딥러닝
- 삼성역테
- 알고리즘
- 그리디
- 포스코 교육
- bfs문제
- 자료구조
- dfs
- 컴퓨팅사고
- MCU 딥러닝
- 포스코 ai 교육
- 삼성역량테스트
- 코테
- TensorFlow Lite
- tinyml
- 코테 문제
- DP문제
- DP
- 코딩테스트
- 임베디드 딥러닝
- BFS
- 삼성코딩테스트
- Today
- Total
코딩뚠뚠
[임베디드] TCP/IP 프로토콜 정리 본문
임베디드 개발 시 사용하는 기본적인 통신방법에 대해 연재중이다.
CAN, RS-232시리얼통신, TCP/IP, RFID 에 대해 연재중이며 CAN과 RS-232는 아래 포스팅을 완료했다.
https://dbstndi6316.tistory.com/306
[임베디드] RS-232 시리얼통신에 대해
가장 기본적인 통신인 CAN 통신과 RS-232 시리얼통신, 이더넷, TCP 까지 연재중이다. 이번에는 RS-232 시리얼 통신에 대해 얘기해 보려고 한다. ↓↓↓ 이전 포스팅 CAN통신 https://dbstndi6316.tistory.com/305..
dbstndi6316.tistory.com
TCP/IP 프로토콜
우선 프로토콜은 '정보를 주고받기 위해 만들어놓은 규칙' 이다.
그 중 TCP/IP 프로토콜은 TCP/IP를 사용하는 프로토콜들의 모음이다. 그러므로 TCP/IP 프로토콜은 이더넷, IP, TCP, HTTP, FTP 등의 개념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.
(응용층/전송층/네트워크층/링크층/물리층 존재)
즉 TCP/I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하면 5개의 계층을 가지는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이다.
그림은 맨 좌측의 OSI 7계층이 최초의 개념으로 맨 우측의 TCP/IP 프로토콜의 전신이 된다.
TCP/IP 프로토콜은 상위 3계층(Application,Presentation,Session)을 응용계층으로 통합했다. 따라서 TCP/IP 5계층으로 부르기도 한다.
계층 설명
1. 물리층 : 링크층에서 받은 프레임을 bit단위로 바꾼다.
2. 데이터링크층 : 네트워크층에서 받은 datagram을 frame으로 캡슐화한다. 흐름제어
3. 네트워크층 : 전송층에서 받은 TCP를 받아서 datagram으로 캡슐화한다. IP주소를 써서 목적지를 찾아간다.
4. 전송층 : 응용층에서 받은 메세지를 segment와 같은 것들로 캡슐화한다.
5. 응용층 : 프로세스간 통신을 하는 층. 메일 주소 등.
아래의 그림은 OSI 7계층에서 송수신을 나타내는 도식도이다.
이더넷 프로토콜 (Ethernet)
이더넷프로토콜은
하나의 인터넷 회선에 유/무선 통신장비 공유기, 허브 등을 통해 다수의 시스템이 랜선 및 통신 포트에 연결되어 통신이 가능한 구조이다.
또한 TCP/IP 5계층에서 가장 아래의 계층에 있는 프로토콜로 OSI 모델기준에서 데이터 LINK 계층을 담당한다.
즉 '기술규격' 이다. LAN, MAN, WAN 등 통신망에서 활용하는!
이더넷은 CSMA/CD 기술을 사용해서 이더넷에 연결된 여러 컴퓨터들이 하나의 전송매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.
전송속도
표준 Ethernet 에서 1bit를 전송하는 최대 전파시간은 25.6 마이크로 초 이다.
따라서 이론적으로 1bit를 전송하고 수신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51.2 마이크로 초 이다.
표준 Ethernet이 10Mbps이므로 64byte가 필요하다. (10000000bit/sec * 51.2마이크로 초 = 512bits = 64bytes)
프로토콜
이더넷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기기들이 48 bit 의 MAC주소를 가지고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만들어졌다.
TCP/IP 프로토콜 과 그에 속해있는 이더넷 프로토콜에 대해 알아봤다.
이 외에도 FTP, TCP, UDP, IP, HTTP, SMTP 등의 프로토콜에 대해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.
'공부 > 임베디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임베디드] RFID 란? (4) | 2021.09.08 |
---|---|
[임베디드] RS-232 시리얼통신에 대해 (1) | 2021.09.06 |
[임베디드] CAN 통신이란? (0) | 2021.09.06 |
[임베디드] 임베디드시스템과 AI (0) | 2021.08.30 |
[임베디드] 임베디드시스템 SW 개발과정 (0) | 2021.08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