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dfs
- 삼성역량테스트
- 삼성역테
- 컴퓨팅사고
- 코테
- dfs문제
- 그리디
- 삼성코테
- MCU 딥러닝
- 알고리즘
- 초소형머신러닝
- 포스코 교육
- 코딩테스트
- 다이나믹프로그래밍
- 삼성코딩테스트
- 포스코 ai 교육
- TensorFlow Lite
- 임베디드 딥러닝
- BFS
- tflite
- 코테 문제
- bfs문제
- 포스코 AI교육
- tinyml
- 자료구조
- DP
- sort
- DP문제
- 딥러닝
- 영상처리
- Today
- Total
목록공부 (176)
코딩뚠뚠
포스코 포스텍에서 제공하는 청년 AI-BigData 아카데미 과정의 온라인 예습 과정 중 하나인 데이터 과학에 대한 강의를 듣고 정리한 포스팅이다. 강의 링크 : pabi.smartlearn.io/? 청년 AI·Big Data 아카데미 온라인 기초과정 (MOOC) 취업 준비생 누구나 POSTECH과 POSCO가 제공하는 무료 온라인 교육 과정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. pabi.smartlearn.io 데이터 시각화 (Data Visualization) : - 데이터 분석결과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보여주는 것 나타내는 방법 : 인포그래픽 (Infographic) 히스토그램 (Histogram) 상자그림 (Box plot) 산점도 (Scatter plot) 효과적인 데이터 시각화의 조건 : 어떤 메시지를 ..
포스코 포스텍에서 제공하는 청년 AI-BigData 아카데미 과정의 온라인 예습 과정 중 하나인 데이터 과학에 대한 강의이다. 2주차 강의의 목차는 다음과 같았다 데이터의 평균 데이터의 분산 데이터와 빅데이터 데이터 탐색의 첫걸음 데이터의 평균 : 평균이란 데이터를 하나의 값으로 표현한 요약된 정보이다. (추정치) 모든 데이터를 더한 후 갯수로 나는 값 평균은 혼자 존재하는 개념이 아니다. 어떻게 표본선정을 하느냐에 따라 평균값에 영향을 미친다. 평균과 표본선정 : 표본이 적합하게 추출되었는지 평가하는 방법 (평균을 예제로 하면) 1. Bias 가 적은가? - 표본 추출 시 표본으로부터의 통계치의 기대값이 모수의 참값과 유사한가 2. Precision이 높은가? - 반복해서 표본을 추출할 때 얼마나 유사..
데이터 과학과 통계 과목을 수강한 이유 : 포스코 포스텍에서 제공하는 청년 AI-BigData 아카데미 과정의 온라인 예습 과정 중 하나로 지금까지 한 번도 접해보지 못했던 데이터 과학에 대한 강의를 수강했다. Python, Tf, torch, numpy, SQL, pandas 등등 AI에 관련한 많은 툴들을 만져보고 적용해봤지만 이들의 DB가 되는 데이터에 대해 자세히 배워본 적 없어서 수강하게 되었다. 데이터 과학이란 : 통계학 - 데이터마이닝 - 빅데이터 - 딥러닝 - 인공지능 은 연결되어있는 분야이다. 데이터 분석 : 예측모형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1. 데이터 큐레이션 - 데이터 추출, 변환 (SQL, R, Python) 2. 데이터 시각화 - ggplot, pyplot, matplotlib 3..
포스텍과 포스코가 공동으로 제공하는 청년 AI-Big Data 아카데미의 온라인 과정(MOOC)을 수강하고 간단히 기록한 포스팅입니다. 이전 과정은 전 포스팅인 1_6,7 에 기록해두었습니다. 순서열 연산자 : '더미' 의 의미에 맞게 빠트림 없이 -'더미'의 의미에 맞게 작동 -'더미'로 정의한 순서열 원소를 빠트림 없이 처리 순서열 연산자 설계 검증하기 1. 순서열 만든 직후 원소나 원소 더미를 뽑아내서 검사 2. 내용을 모르는 순서열을 받아서 복제할 수 있는지 검사 순서열 복제하기 - 사용하는 연산자 --> 순서열 == [] --> 순서열[0] --> 순서열[1:] - 상수 op에 기록된 순서열 복제하기 --> [] if op==[] else [op[0]]+op[1:] 이렇게 해서 컴퓨팅사고의 모든..
포스텍과 포스코가 공동으로 제공하는 청년 AI-Big Data 아카데미의 온라인 과정(MOOC)을 수강하고 간단히 기록한 포스팅입니다. 이전 포스팅인 컴퓨팅사고 1_5 에서 이어집니다. 6장 : 연산 지금까지 컴퓨터의 계산은 무엇으로 이루어지는지 알아보았다. 그 중 연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. 계산 = 무엇(계산대상) + 어떻게(계산과정) 무엇 - 알맹이요약하기, 계산자료 어떻게 - 연산, 명령 연산자 종류 단항 연산자 : not True 이항 연산자 : A + B Python 언어에서는 + - / % * ** 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. 연산시 우선순위 지수승 ** 부호 변환 + - 곱셈 나눗셈 나머지 * / % 덧셈 뺄셈 문자열잇기 + - + 논리 부정 not 논리곱 and 논리합 or 순이다. 또한..
포스텍과 포스코가 공동으로 제공하는 청년 AI-Big Data 아카데미의 온라인 과정(MOOC)을 수강하고 간단히 기록한 포스팅입니다. 1_5는 앞선 1_4 과정에어 이어지는 과정입니다. 계산 자료 - 같은 꼴의 더미 - 계산 설계가 쉬워짐 - 알맹이 요약하기에서 중요 같은 꼴의 더미를 표현하기 위해서 순서열을 사용할 수 있다. [자료1, 자료2, 자료3...] 빈 더미의 표현 [] 로 표현할 수 있다. 작은 순서열 맨 앞에 원소 하나를 덧붙이기 [원소] + 작은 순서열 순서열과 여러곱 여러곱 - 원소 갯수가 고정 - 원소 추가하면 새로운 꼴의 여러곱이 나온다 순서열 - 원소가 몇 개 포함될지 미정 - 원소를 추가해도 종류가 달라지지 않는다 순서열의 사용 [2] + [3] = [2,3] 다음 유도하기와 ..
포스텍과 포스코가 공동으로 제공하는 청년 AI-Big Data 아카데미의 온라인 과정(MOOC)을 수강하고 간단히 기록한 포스팅입니다. 계산 자료 : 지금까지는 계산 대상에서 알맹이를 요약(가공)해서 계산 자료를 도출해 낸다고 설명했다. 이번 시간에는 어떤 종류의 계산 자료가 있는지 알아본다. 계산자료 中 기본자료 : 더이상 쪼갤 수 없는 계산 자료 ex) Python 언어의 기본 자료 = 정수, 논리값, 문자열 이에 대한 여러 표현방법에 대해 배울 수 있었다. 계산자료 中 그리고 and && 에 대한 설명이다. 여러개의 자료를 뽑아낼 때 사용한다. python 에서 (1729, "Hello", True)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. ex) 행정구역 별로 나눌 수 있다. ('서울시', '중구') / ('서..
포스텍과 포스코가 공동으로 제공하는 청년 AI-Big Data 아카데미의 온라인 과정(MOOC)을 수강하고 간단히 기록한 포스팅입니다. 계산 과정 : 나누어 풀기 문제를 작은 문제 여러 개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. - 작은 문제는 각기 풀 수 있어야 한다. - 계산 자료를 넘겨주는 것 외에는 연관성이 없어야 한다. 계산 과정 : 쪼개 풀어 합치기 계산자료를 쪼갠 뒤 작은 답을 구하고 최종 답을 구하는 것으로 알고리즘의 분할정복과 비슷하다. 계산 과정 : 눈앞 찾기 계산 자료 전체를 분석하기 어려울 때 쓸 수 있음 각 단계에서 취할 수 있는 가장 쉬운 선택만 쫓아간다. (이 부분에서 그리디 알고리즘을 말하려고 하는 것 같다.) 여기까지 공부하며 컴퓨팅 사고에는 알맹이 요약하기, 다음 유도하기, 쪼개풀어합..